2025년 하반기 국내/선진국 투자전략: 금리, 달러, 그리고 주도 업종 변화
금일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하반기 금융시장 전망 포럼을 듣고 생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최근 금융시장은 1985년 플라자합의부터 레이건, 트럼프 정책까지 다시 돌아보게 만들고 있습니다. 미국 금리, 달러, 무역정책, 그리고 한국 주식시장까지, 2025년 하반기 투자 전략을 정리해봅니다.
미국 금리 하락: 트럼프 1기와 2기, 정책 차이 없다
트럼프 정부는 1기 때와 마찬가지로 높은 정부부채 비율을 감안해 금리 인하 정책에 유리한 입장입니다.
실제로 연준은 2025년 들어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하며 관망세를 취하고 있지만, 시장은 하반기(7월, 9월, 10월) 세 차례에 걸친 금리 인하(총 50~75bp)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정부부채 부담, 경기 둔화, 실업률 관리 등 여러 요인이 맞물리면서 하반기에는 금리 레벨이 낮아질 전망입니다.
달러 약세: 제조업·수출기업에 유리한 환경
2025년 들어 달러인덱스(DXY)는 98pt 아래로 하락, 2022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무역 불확실성, 경기 둔화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달러 약세가 지속되는 모습입니다.
골드만삭스 등 주요 IB들은 앞으로 12개월간 달러가 유로, 엔, 파운드 대비 각각 10%, 9% 추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제조업 중심의 수출 확대, 무역적자 개선을 위해서는 달러 약세가 필수적입니다.
레이건의 실업률 하락 정책과 1985년 플라자합의
레이건 정부 1기는 물가 하락, 2기는 실업률 하락에 주력했습니다. 제조업 활성화를 통한 고용 창출, 수출 확대가 핵심 전략이었죠.
1985년 플라자합의 당시 미국의 무역적자/GDP 비율이 3%에서 1%로 줄어들었고, 달러 가치는 2년간 25% 이상 하락했습니다.
지금 미국도 달러 약세를 통해 무역적자 축소, 제조업 부흥을 노리고 있습니다.
연준의 경기 판단과 금리 인하 임박
미국 경기선행지수는 전년 대비 -3.0%로, 2월부터 하락 전환된 이후 6개월 시차를 감안하면 8월부터 동행지수도 부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가 임박했다는 신호죠. 하반기 두세 번의 금리 인하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S&P500 기대수익률은 7~10% 수준으로 전망됩니다.
미국 주식시장: 주도 업종의 변화
이번 하반기 미국 주식시장은 매출 성장률이 높은 업종, CAPEX(투자) 비율이 증가하는 기업, ROIC(투하자본수익률) 개선, PSR(주가매출비율) 하락 기대감이 있는 기업이 주도주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소프트웨어/서비스 업종이 대표적입니다. S&P500 상단은 6,000~6,500pt로 예상됩니다.
한국 주식시장: 달러 약세 수혜, 외국인 자금 유입 기대
달러 약세가 심화될수록 코스피에는 긍정적입니다. 과거 달러인덱스가 3개 분기 연속 하락할 때 코스피는 급등했고, 이번에도 상단 2,900pt까지 열려 있습니다.
외국인은 최근 9개월간 38조원 순매도(글로벌 금융위기 수준)했으나, 이제 금리 인하와 달러 약세 국면에서는 한국 주식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외국인 자금이 들어올 때는 철강, 자동차 등 수출 대형주를 중심으로 인덱스 매수가 활발할 전망입니다.
3분기까지는 내수주(지주, SW, 운송, 증권), 4분기에는 성장주(건강관리, 미디어교육, SW, 기계 등)로 순환매가 예상됩니다.
중국: 정책 가시성 높고, 장기금리 바닥 확인 중
중국은 2026년까지 정책과 경기 사이클의 가시성이 높고, 최근 수신금리 1% 붕괴 등 구조적 변화가 진행 중입니다.
해외투자 제한, 채권형 자산 선호 증가, 본토 우량/배당주 및 홍콩투자 확대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트럼프 정부는 중국과의 공급망 분리, 첨단기술 내재화 저지에 집중할 것으로 보입니다
환율 전망: 원화 강세 제한적, 변동성 확대
아시아 통화 절상 요구, 달러 약세 등은 원화 강세 요인이지만, 국내 경기 펀더멘털이 취약해 강한 원화 강세는 제한적입니다.
2025년 상고하저 흐름, 무역분쟁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원/달러 환율은 높은 변동성이 불가피합니다.
실제로 원화는 1,400원선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Comment: 투자전략 한 줄 요약
- 미국 금리 인하, 달러 약세, 제조업 부흥 정책이 하반기 글로벌 투자환경을 좌우
- 미국은 소프트웨어/서비스, 한국은 수출 대형주와 성장주에 주목
- 외국인 자금 유입, 환율 변동성, 중국 정책 변화 등 복합적 변수에 유연하게 대응
지금은 단순히 금리·환율만 보는 시대가 아닙니다. 글로벌 공급망, 무역정책, 업종별 성장성까지 입체적으로 바라봐야 하는 시점입니다. 하반기 투자, 트렌드의 변곡점에서 전략적으로 접근해보시길 바랍니다.